Notice
Recent Posts
«   2025/04   »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
관리 메뉴

쉽게쉽게 가자

한 직장에서 오래 일하면 안되는 이유는? 본문

직업 관련

한 직장에서 오래 일하면 안되는 이유는?

쉽쉽이 2024. 12. 11. 18:06

처음 회사에 입사할 때부터 이 회사에서는 딱 언제까지만 일해야겠다는 기한을 정해두고 일을 시작하는 경우는 거의 없지 않을까요? 하지만 해마다 여러 가지 일들을 겪으면서 순간순간 이직에 대한 고민이 커지고, 결국 결심으로 이어지게 됩니다.

 

어떤 분들은 한 회사에서만 일을 하면서 이직을 하지 않는 건 손해라고 까지 표현을 하시는데 그 이유가 있을까요? 한 직장에서 오래 일을 한다는 건 구체적으로 이런 단점들이 있기 때문에 결국 주변에서 이직을 권하는 분들이 많더라고요.

 

이직을 결심하는 직장인
이제 나도 슬슬 이직을 준비할 순간이 온 것 같군

 

이직을 추천하는 이유

오랜 기간 동안 같은 환경에서 근무를 하다 보면 업무에 대한 만족도가 떨어지게 되는데요, 비슷한 업무를 반복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흥미가 사라지면서 일을 하는 게 굉장히 지겹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.

 

또한, 실질적으로 이직을 선택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인 승진이나 급여 인상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어요. 같은 직장 내에서 인사이동이 제한적이고 승진 기회가 자주 없다면 경력이 정체되면서 급여 상승 또한 이루어지기 어렵습니다.

 

그런 의미에서 가장 성공적이고 이상적인 이직은 이직을 할 때 마다 나의 몸값을 올리면서 높은 직급으로 이동하는 것이라고 하네요.

 

이직을 고민만 하면서 계속 같은 직장에서 일을 하게 되면 점점 변화를 두려워하게 되고, 새로운 일에 대한 적응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. 이렇게 현재 직장 생활에 안주하다 보면 나의 역량을 발전시키기 위한 기술이나 지식을 습득하기 어렵고, 나의 개인적인 발전에 한계를 느끼게 될 수 있어요.

 

또한, 같은 사람들과 함께 계속 일을 하는 것은 불필요한 관여나 과도한 업무를 아무렇지 않게 부탁하는 경우도 많습니다. 결국엔 사람에 지쳐서 이직만이 정답이다!라고 외치는 상황이 올지도 모르겠네요.

 

이직을 결심할 때 주의할 점

이직을 최종적으로 결심할 때는 심사숙고가 필요하며 절대 감정적으로 급하게 판단해서는 안 됩니다. 이직은 확실한 계획과 미래에 대한 준비가 되어있을 때 실행으로 옮기는 것이 좋아요.

 

내가 회사에서 이렇게 고생하면서 일하는데 고작 나에 대한 대우가 이것밖에 안된다고?

 

대부분 현재 다니고 있는 직장에 대한 불만이 인내심을 넘는 순간 이직을 결심하게 됩니다. 이 회사는 평생 발전도 없고, 계속 이 모양일 것이라는 판단이 설 때도 급하게 이직을 준비하게 되죠.

 

그렇다고 해서 이직을 준비하고 있다는 것을 너무 노골적으로 다른 사람들에게 드러낼 필요도 없습니다. 이직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과 실제 가능성이 확실해졌을 때 동료들에게 알려도 늦지 않아요.

 

하지만 너무 자주 직장을 옮겨다니는 것도 좋은 방법은 아닙니다. 왜냐하면 이직 대신 평생직장을 택했을 때의 분명한 장점도 있거든요.

 

평생직장 가능할까? 한 직장을 오래 다니면 좋은 점은?

 

평생 직장 가능할까? 한 직장을 오래 다니면 좋은 점

요즘에는 평생직장의 개념이 사라졌다고 하는데요, 한 직장에서 오래 근무를 한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굉장한 일이라는 생각이 듭니다. 회사를 다니다 보면 이직이나 퇴사를 생각할 만큼 수많은

easytogo.tistory.com

728x90